닫기

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완화에 연 13억 결제 병원 나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0010001906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0. 10. 23:58

업종완화 신규 가맹점 3654곳 중 병의원이 1777곳...결제액 348억으로 76% 차지
윤석열 정부 당시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기준을 완화했지만 가장 수혜를 본 업종은 병·의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 10 억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 매출을 올린 병원도 1년새 5곳이나 나와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업종 기준이 완화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업종완화 신규 가맹점은 총 3654개 결제금액은 457억7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병·의원 1777개 348억3000만원 △학원1428개 101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중에서도 병·의원의 결제액 비중이 전체의 76% 를 차지해 업종완화 정책으로 인한 가장 큰 혜택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병원은 세종시에 위치한 A정형외과로 연간 13억1300만원에 달했다. 중기부는 A정형외과에 대해 "일일 환자 250명 규모이며 물리치료 환자가 대부분"이라고 밝혔으나 중대형 규모의 병원에서 온누리상품권 고액 결제가 나오는 것은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온누리상품권 가맹 자격에 연 매출 제한(30억원 이하)을 두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계류 중이다.

김원이 의원은 "가맹기준을 섣부르게 완화해 결국 병원만 수혜를 보고 있다"며 "도수 치료를 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큰 병원에서 수억 원 결제가 나오는 게 취지에 맞는지 의문이며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 중심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