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포스코퓨처엠, 차세대 양극재 개발…전기차·UAM도 공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09989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8. 21. 08:59

주행거리 높인 '울트라 하이니켈'
가격 잡은 '고전압 미드니켈'
공정 최적화로 안전성 확보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_결정구조(SEM)
포스코퓨처엠 연구원이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결정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 전기차부터 스탠다드·엔트리급 모델까지 아우를 수 있는 차세대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21일 포스코퓨처엠은 주행거리를 극대화한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가격경쟁력을 높인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수요층을 겨냥한 소재 라인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95% 이상으로 높여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제품으로, 미국·유럽 고급 전기차뿐 아니라 도심항공교통(UAM)까지 겨냥해 개발됐다. 니켈 비율이 높을수록 안정성과 수명 저하 우려가 있으나, 포스코퓨처엠은 단결정 소재와 표면 코팅, 공정 최적화를 통해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보했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니켈 비중을 60%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전압을 높여 에너지밀도를 보완한 제품이다. 망간 비율을 높이고 단결정화를 적용해 안정성을 강화했으며, 저가 원료인 탄산리튬과 무공침 전구체를 활용해 원가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이와 함께 포스코퓨처엠은 GM, 포드 등이 채택 의사를 밝힌 LMR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도 완료하고, 연내 양산 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LMR은 기존 생산라인 활용이 가능하고 재활용 가치도 높아 LFP를 빠르게 대체할 차세대 소재로 꼽힌다.

포스코그룹은 양극재 외에도 황화리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개발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추진하며, 글로벌 배터리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