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배전 원가관리·구입비 절감 성과
부동산 매각 통해 재무개선 가속화
부채심화 여전…전기료 인상 목소리
업계 "모든 요금 공평하게 올라야"
|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재정건전화계획을 통해 총 11조5000억원의 재무개선을 달성했다. 이는 목표치였던 10조4512억원보다 1조원 가량 초과 달성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송배전 원가관리 강화 등을 통해 1조3581억원을, 구입비·경상비 절감에 8조6649억원, 할인제도 일몰 등 수익확대로 6322억원 등 목표 대비 초과 이행률을 기록했다.
자산매각에서는 기대보다 저조한 이행률(72%)을 보였다. 의정부 변전소·제물포지사 사옥 등 매각한 부동산과 출자지분은 8448억원이었다. 한전은 당초 자산매각에 1조1704억원을 목표로 잡았다. 지난 3년 동안 상업용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된 탓에 유찰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다행인 점은 전일 알짜 부동산 중 하나인 서울 성동구 마장동 자재센터 부지의 우선협상대상자(BS그룹 컨소시엄)가 선정됐다는 점이다. 한전은 이번 매각을 통해 약 5055억원 수준의 재무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한전이 자산매각 등 재정건전화계획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부채 수준을 고려하면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에 치솟은 에너지 가격을 전기요금에 충분히 반영치 못하면서 현재 총부채 207조원을 떠안고 있다. 한전은 정부 지침에 따라 재정건전화계획을 수립했으며, 이 계획에 따라 2026년까지 20조9000억원 규모의 재정건전화에 나서고 있다.
근본적인 재무개선을 위해서는 전기요금 인상 카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되는 이유다. 실제로 지난해 한전이 갚은 이자 비용은 4조6651억원에 달했다. 총부채는 지난해 말 205조원에서 올해 1분기말 기준 2조원 더 늘어나는 등 재무건전성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문제는 전기요금 인상 카드가 민생경기가 악화된 상황에서 쉽지 않다는 점이다. 여기에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여파로 '탈한전'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 되는 부분이다. 최근 3년간 산업용 전기요금은 7차례 인상됐다. 지난해 10월에는 산업용 전기요금만 평균 9.7% 올린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전의 누적적자 해소에 필요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전기요금 인상"이라면서도 "다만 특정 전기요금만 대폭 올리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본다. 특히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은 결국 우리나라 경제산업의 경쟁력 약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로, 모든 요금을 공평하게 인상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