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5월 '소방 장비 명칭 개정 전담팀(TF)'을 구성해 현장 대원 의견 조회와 정책 검토를 거쳐 303종 장비의 명칭 개정 타당성을 검토했다. 오는 12월부터 새 명칭을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개정 대상은 전문 용어로 인해 기능이 드러나지 않거나, 기존 명칭이 시대 변화와 맞지 않는 장비다. 예를 들어 스킨핀은 '오리발'로, K급 소화기는 '주방용 소화기(K급)'으로 바뀐다. '비콘'은 '개인조난위치발신기', '레버식 이동식 방수총'은 단순히 '이동식 방수총'으로 변경된다.
이번 개정은 장비의 명확한 용도 인식과 직관성 확보에 중점을 뒀다. 특히 '이동안전체험교육차'는 '소방안전체험차', '백밸브마스크'는 '수동식 인공호흡기(BVM)' 등으로 변경돼 국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소방 장비는 기능과 용도에 따라 기동·화재·구조·구급·통신·측정·보호·보조 등 8개 대분류, 총 751종 세분류로 관리되고 있다.
소방청은 올해 말까지 '소방 장비 명칭 표기 기준에 관한 지침'을 마련해 향후 새롭게 도입되는 장비 명칭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실제 재난 상황에서 대원 간 또는 기관 간 원활한 의사소통은 신속한 재난대응의 기반이 된다"며 "향후 소방장비의 도입단계부터 현장의견을 수렴하여 장비의 기능과 목적을 중심으로 명칭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