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 강조 나선 최태원 “기술개발 이미 늦어…자원 효율 집중시켜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9010003683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5. 09. 15:23

서울 롯데호텔서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 개최
전문가들 "산학연 원팀 돼야 강국으로 도약"
사본 -002_250509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사파이어볼룸에서 열린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AI(인공지능) 도움 없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출산업 역시 위험해질 수 있다'는 위기론을 앞세워 AI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SKT 해킹 사건 대응,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준비 등 대내외적으로 분주한 시간을 보내는 와중에도 국가 과제이자 그룹 핵심 사업이기도 한 AI 행보를 놓치지 않고 있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는 한국인공지능학회, 한국인공지능법학회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 회장,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지형 한국인공지능학회장, 최경진 한국인공지능법학회장 등 정부·기업·학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AI는 열심히 (개발)해도 빠른 게 아니며 이미 늦었다"면서 "AI 경쟁에서 가장 힘든 게 엄청난 리소스(자원)과 에너지가 들어간다는 것인데, 그 스피드 역시 매우 빠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가 제대로 갖춰진 국가가 되지 못한다면 경제모델 자체가 부서지는 문제를 맞이할 수도 있다"며 "우리나라에서 자랑하는 수출품들도 AI 도움이 없다면 경쟁력 약화가 뻔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어 "우리는 AI 경쟁에서 엄청난 양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집중시킬 필요성이 있다"면서 "모든 AI를 다 할 순 없어도 인재를 모아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를 개척할 만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사본 -001_250509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왼쪽 여섯번째)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다섯번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일곱번째)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AI 정책 포럼'에서 주요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AI는 최 회장 행보에 매번 따라붙는 수식어 중 하나다. 앞서 최 회장은 전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만나 AI 산업 투자 확대를 위한 지원책을 요청했다. 지난 3월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들을 만나 AI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추격해 오는 중국의 위협을 언급하는 등 주요 공식석상에서 AI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밝혀 왔다.

SK그룹의 사업 재편 역시 AI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룹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 SKT, SK이노베이션 등에서 AI 데이터 센터 구축을 주된 사업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최 회장은 매년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등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을 만나 AI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직접 듣고 그룹에 제시하고 있다.

최 회장은 이날 "대한상의에서 5월 7일 AI 정책보고서를 발표했으나, 완전한 전략은 아니다"며 "하반기에도 오늘과 같이 꾸준히 토의를 이어가면서 제대로 된 대한민국 AI 정책을 만들어서 집행해 보면 어떨까 싶다. 정부에서도 민간에서도 협조해서 얘기를 해나갔음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 참석한 AI 전문가들은 산·학·연이 '원팀'이 돼야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기조연설을 맡은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면서 정부는 끝까지 등대처럼 어떠한 전략을 가져간다는 것을 만들어줘야 한다"며 "기업은 정부와 적극적으로 규제 등을 얘기해야 한다. 양측이 수요 중심적으로 원팀을 만들지 않으면 AI 생태계를 구축하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어진 3개 패널토론에서는 한국형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역할, 제조 AI의 개발 촉진 방안,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한국형 대형언어모델(K-LLM)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주제로 전문가들이 열띤 논의를 펼쳤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