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피해 3000억 넘어…작년 대비 2배 급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7010015828

글자크기

닫기

박주연 기자

승인 : 2025. 04. 27. 11:08

최근 3개월 5878건…총 피해액 3116억원
50대 이상 피해자 전체 피해 중 51% 차지
기관 사칭형 기승…경찰 "총력대응할 것"
국가수사본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아시아투데이DB
올 1~3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액이 전년 동기 대비 1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당 평균 피해액은 5301만원으로 188.4% 올랐다.

27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총 5878건으로, 전년 동기(5015건)보다 17.2% 가량 늘었다. 그러나 총 피해액은 3116억원으로 지난해 1411억원 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다. 건당 평균 피해액도 지난해 2813만원보다 급증했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정교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다액 피해를 유발하는 기관 사칭형 범죄의 비중이 절반(2991건·5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보유자산이 많고 IT 기기 이용에 비교적 익숙치 않은 50대 이상이 범행 대상으로 집중됐다.

보이스피싱
/경찰청
특히 보이스피싱 수법은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카드배송, 사건 조회, 대출신청 등의 명목으로 접근한 뒤 휴대전화에 원격제어앱 또는 악성앱을 설치하는 수법이 성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피해자가 발신하는 번호를 가로채 공공기관 대표번호로 조작하는 소위 '강수강발' 수법으로 피해자들의 돈을 갈취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범죄조직들은 짧게는 하루 단위로 악성앱을 업데이트하고, 자산탈취가 완료된 피해자를 상대로 악성앱 통신을 자체 차단하며 수사기관의 수사망을 교묘히 빠져나가고 있다.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피해 억제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악성앱 설치 의심자에 대한 현장 구제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또 다각적인 예방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연령별·지역별 맞춤 예방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조직화·고도화되면서 범죄 발생 사후의 단속 활동만으로는 피해자의 온전한 피해회복이 어렵다"며 "경찰도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주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