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대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32%의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받으면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자국 기업을 위해 880억 대만달러(3조8720억 원) 규모의 지원 계획안을 21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clip20250420190404
0
대만 타이베이 인근 신베이시 투청산업단지의 전경. 대만의 주요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대만 정부는 미국발 관세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곳에 입주한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롄허바오.
롄허바오(聯合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20일 보도를 종합하면 줘룽타이(卓榮泰) 대만 행정원장(총리)은 전날 수도 타이베이(臺北)에 인접한 신베이(新北)시 투청(土城)산업단지에서 열린 관련 의견 청취 행사를 통해 "업체가 미국 관세로 인한 영향을 받는다는 설명만 하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관련) 신청조건을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세계 경제와 무역 상황의 단기적 변화와 영향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중장기 경제발전 전략과 전체 목표의 수립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 관계자는 해당 지원안에 대출 금리 인하, 시장 다변화 지원, 고용 안정화 등의 조치가 포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대만 당국은 이외에도 미국발 관세 정책으로 피해가 우려되는 고무 제품, 기계 설비제조, 기타 운수 공구 및 부품제조업 등 3대 산업의 근로자 등을 위한 '고용안정 조치' 확대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보다 앞서 일부 대만 언론은 국책 연구기관인 중화경제연구원(CIER)이 지난 18일 최신 경제전망에서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인한 소비 심리의 위축으로 미국과 전 세계의 주요 경제가 쇠퇴하는 최악의 경우 올해 대만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6%로 추락할 것으로 우려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가장 낙관적인 경우에도 2.85%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발 관세전쟁에 관한 한 대만도 중국과 비슷한 동병상련의 처지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