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만 포위 훈련 종료, 中 대대적 군사력 동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569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4. 02. 23:36

라이칭더 대만 총통 겨냥
2일 오전까지 군용기 76회 출격
中 조국 통일 굳게 추진 강조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 인민해방군이 1일부터 시작한 이틀 동안의 '대만 포위' 훈련을 마쳤다. 대대적 군사력이 동원된 사실을 감안하면 예상보다 훨씬 빨리 끝났다고 해야 할 것 같다.

clip20250402232828
최근 훈련에 나선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의 병사들. 2일 막을 내린 대만 포위 훈련에도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제팡쥔바오(解放軍報).
스이(施毅)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대변인은 2일 오후 7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식 계정을 통해 "1∼2일 동부전구는 합동 훈련의 각 임무를 원만히 완료했다. 부대의 일체화 합동 작전 능력을 전면적으로 검증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구 부대는 시시각각 고도의 경계 태세를 유지하면서 훈련과 전투 준비를 지속 강화해 모든 '대만 독립' 분열 행동을 단호히 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보다 앞서 중국 군은 전날 오전 7시 30분 육군·해군·공군·로켓군을 동원해 대만을 사방으로 둘러싼 형태의 포위 훈련을 시작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이에 대만 국방부는 중국 군이 1일 오전 7시 21분부터 대만 주변 해역과 공역에서 군함 13척과 해경선 4척, 군용기·헬기·무인기(드론) 71대를 동원해 합동 군사 훈련을 했다고 밝혔다.

또 전날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집계된 중국 군 군용기의 대만 주변 출격 횟수가 76회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어 대만 동·서·남·북부 공역에도 37회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군함은 15척 등장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군의 이번 대만 포위 훈련은 지난해 10월 라이칭더(賴淸德) 대만 총통의 건국기념일(쌍십절) 연설을 문제 삼아 수행한 '리젠(利劍·날카로운 칼)-2024B' 이후 6개월 만에 실시됐다.

중국은 당초 이번 훈련에 코드명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날 '해협 레이팅(雷霆·천둥)-2025A'라는 이름을 붙였다. 올해 재차 대만 포위 훈련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대만 포위 훈련을 실시하자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유럽연합(EU) 등은 중국이 무력과 강압을 통한 일방적 현상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면서 우려를 표했다. 당연히 중국은 반발했다. 장샤오강(張曉剛) 국방부 대변인이 이날 "누구든 '대만 카드'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은 자신에게 화를 미치게 하는 어리석은 행동이다. '대만 독립' 분열 행동을 단호히 분쇄하고 조국 통일 프로세스를 굳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사실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대만해협의 긴장은 이제 뉴노멀(새 표준)이 됐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