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예초·성묘’하다가 순식간에 산불…“일상적 주의 기울여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3010012128

글자크기

닫기

임상혁 기자

승인 : 2025. 03. 23. 17:26

산청 화재원인 '예초기' 튄 불씨로 추정
의성 '성묘객 자진 신고'…울주 용접 추측
10년간 산불원인 失火 41%…소각 등 24%
전문가 "지자체 부산물 수거 정책 중요"
"산불 초기엔 신속·정확 신고 이뤄져야"
산청 산불 진압하는 헬기<YONHAP NO-5160>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 사흘째인 23일 단성면 일대에 산불이 마을 쪽으로 향하자 헬기가 물을 뿌리며 산불을 진압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들의 원인이 예초나 성묘 등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부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23일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발생한 산청군 시천면 산불은 현장 인근 농장에서 잡초 제거를 위해 예초기를 사용하던 중 불씨가 튀며 화재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전날 경북 의성에서 일어난 산불은 성묘객이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며 직접 119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발생한 울산 울주군 산불은 인근에서 용접 작업을 하던 농막에서 불이 시작됐다고 당국은 추측하고 있다.

산불은 말 그대로 '작은 불씨'가 삽시간에 큰 불로 번지는 경우가 많다. 산림청 산불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 동안 산불 원인 중 △입산자 실화(失火) 31% △담뱃불 실화 7% △성묘객 실화 3%로 '실화'만 41%를 기록했다. 인근 주민이 작업을 벌이다 불이 나는 경우는 △쓰레기 소각 13% △논·밭두렁 소각 11%로 총 24%를 차지했다.

평소 경각심을 갖고 꾸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실질적인 예방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산림청은 올해 건조한 날씨가 예상되자 지난 1월부터 '봄철 산불조심기간' 운영에 돌입했고, 지난 21일 국립산림과학 연구원도 전국 대부분 산불위험지수가 높다고 주의한 바 있다. 하지만 산불 예방을 강조한 같은날 발생한 대형화재가 이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불이 쉬이 번질 수 있는 봄철에 특히 주의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전문가는 개개인이 조심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반 시민의 폐기물 등 소각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원천적으로 막는다는 차원이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산불 원인은 실화와 논두렁과 쓰레기 등 부산물을 태우는 행위가 절반 이상이다. 결국 사람이 조금만 관심을 더 갖는다면 절반이 넘는 화재를 줄일 수 있다"며 "또 최근 영농의 부산물 소각 행위를 줄이기 위해 산림청, 농촌진흥청, 지자체 등에서 부산물을 수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불 발생시 초기 진화 못지않게 신속하고 정확한 신고가 필요하다. 이 교수는 "무엇보다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면 좋겠지만, 산불은 금방 불이 커지기 때문에 개인이 초동 대응을 하긴 쉽지 않다"며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 후 가능한 빨리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정확한 위치를 전달하는 것도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임상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