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6545만 마일리지 소진 전망
대한항공 6월까지 전환비율 공정위 보고
|
양 사의 마일리지 통합은 일반 승객 입장에서 가장 예민한 이슈다. 대한항공으로서는 일각에서 1대 1도 교환도 언급되고 있는 데다가, 재무적으로는 마일리지가 부채로 잡히기 때문에 부담을 덜려면 가능한 많이 소진하는 게 숙제다.
20일 아시아나는 오는 4~5월은 인천~LA에, 6월에는 인천~뉴욕에 마일리지 전용기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미주노선 마일리지 항공권의 경우 비수기 편도 기준 이코노미 클래스는 3만5000마일, 비즈니스 스마티움 클래스는 6만2500마일을 공제한다. 두 노선 모두 한국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 손꼽히는 장거리다. 특히 A380은 비즈니스 좌석도 많아 마일리지를 더 많이 털어내는 효과가 있다.
잔여석 1870석을 기준으로 전부 이코노미석으로만 계산했을 때는 6545만 마일리지가 소진되지만, 여기에 비즈니스석을 더하면 소진 마일리지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의 미소진 마일리지는 금액으로 따졌을 때 1조원 수준에 달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나의 이연수익은 9608억원이다. 같은 기간 대한항공이 2조5743억원인데 합치면 3조원을 훌쩍 넘긴다.
미주 노선은 아시아나 여객 실적에서 매출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미주노선을 운항하는 국적사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최근에 에어프레미아가 합류해 3곳으로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아시아나는 미주 노선에 마일리지 전용기를 투입하기 전에 4회에 걸쳐 제주 노선에 마일리지 전용기를 공급했으며 평균 92%의 예약률을 기록했다.
한편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최근 기업 신규 이미지(CI) 발표 행사에서 마일리지 통합 방안에 대해 "모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합리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목표"라며 "아직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지만 조만간 발표하게 될 것 같다"고 언급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까지 마일리지 전환 비율을 공정거래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