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단독] 트럼프, ‘대북특별대표’ 선임 검토… ‘대중국 압박’에 초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1010011580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5. 02. 21. 18:06

곧 '북핵협상' 갈래 정해질 듯
미 싱크탱크 AFPI, 직접 건의
중국 공산당 아태전략 집중견제
US-PRESIDENT-TRUMP-SPEAKS-AT-THE-REPUBLICAN-GOVERNORS-ASSOCIATIO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내셔널 빌딩 박물관에서 열린 공화당 주지사 협회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문제를 담당하는 '대북특별대표' 선임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북한 김정은과의 친분을 연일 과시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정책 방향이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가운데 '대북특별대표'가 선임되면 북핵 협상의 갈래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주도하는 '미국우선정책연구소'(America First Policy Institute, AFPI)를 구성하는 수백명의 지식인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직접 '대북특별대표'를 임명해야 한다고 건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9일부터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 중인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2025)'에 참석한 최원목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프레드 플라이츠 AFPI 부소장과 만나 이와 관련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 한국의 최근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인물이 없다고 지적했고, 최 교수에게 한국 정세에 대한 견해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논의를 기초로 한국 상황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 교수는 플라이츠 부소장에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관련 상황과 부정선거 이슈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중국 공산당의 아태전략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 북한 문제를 담당하는 특별대표를 선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국 문제에 초점을 맞춰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약속했다.

최 교수는 현재 한국 내 상황이 매우 급박하다는 점을 강조했고, 한국 문제는 중국의 전략에 대한 이해와 미국의 안보이익 맥락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밝혔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는 북핵 협상을 단순히 미·북 협상과 관련한 양자관계로 접근하지 않고, 중국의 팽창 야욕을 확실히 억제하기 위한 방향으로 잡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미국은 중국 공산당의 한국 정치 개입 상황을 심각히 바라보고 있으며, 미국 공화당을 중심으로 제기된 부정선거 이슈가 중국과 연관돼 있다는 점에 대한 인식도 확고하다는 점도 확인됐다.

미국은 북핵 문제를 '한반도 안보'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중국의 팽창 야욕에 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분류해 접근하고 있다. 결국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1 구호에 맞춰 접근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는 북핵 협상을 접근하는 데 있어 한국의 역할이 대중국 견제에 맞춰질 수 있다는 점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결국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외교안보 인사들의 한국의 '자체 핵무장' 긍정론에 대한 의견이 다시 대두될 수 있다는 점은 한국 안보에 굉장히 고무적인 일이 될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대북특별대표가 선임되고 북핵협상의 갈래가 정해지면 미국의 대중국 압박 수단도 가시화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린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