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원료구매자금 150억 달러 신규 지원
'K-스마트팜' 수출, 全주기 지원체계 구축
|
농식품부는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K-Food+는 농식품과 스마트팜·농기계 등 농업자재, 동물용 의약품, 펫푸드 등 전후방산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지난해 약 130억 달러 수출고를 올리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우리 돈으로 약 18조7694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농식품부는 올해 K-Food+ 수출 목표를 140억 달러(약 20조2258억 원)로 설정했다. 다만 환율 변동, 물류비 상승, 비관세장벽 강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수출 실적 방어를 위해 관련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농식품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은 우리 농식품 수출이 가장 많은 '1위 시장'인데 트럼프 정부가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보편관세 부과 및 보복관세 조치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확대 전략은 △대외 수출 리스크 대응 △수출 애로 해소 및 경쟁력 강화 △수출 시장 및 품목 다변화 △글로벌 트렌드 연계 마케팅 및 고급화 등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우선 수출기업의 환차익 손실 보전을 위해 환변동보험 자부담율을 기존 5%에서 최대 0%까지 완화한다. 당초 엔화에만 적용하던 보험을 달러화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존에 엔화에만 (환변동보험을) 적용했던 것은 그간의 엔저(엔화 약세) 장기화 때문"이라며 "환율 강세로 달러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에 해당 제도를 달러까지 확대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기업에 (자부담율을) 최대 0% 적용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수출 규모가 매우 적거나 처음 환변동보험에 가입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농식품부는 세부방침을 결정해 다음달부터 본격 자부담율 완화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해외 전문기관을 활용한 통관·인증·SPS(동식물 위생 및 검역) 컨설팅을 지원하고, 주요 수출국 관계자 대상 방문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비관세장벽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수출기업 원가부담 경감 등을 위해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원료구매자금의 경우 농약에 대해 150억 원을 신규로 지원하고, 비료는 기존 40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보조를 확대한다. 농식품은 4500억 원, 농기계는 3000억 원을 지원한다.
수출 전(全)과정 맞춤형 애로 해소를 위해 농식품 수출바우처도 328억 원에서 360억 원으로 늘린다. 바이어·프로젝트 발굴, 거점 활용 홍보, 밀착지원 등 스마트팜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 시장 및 품목 확대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미국, 중국, 일본 내 2선 도시 진출을 본격 추진하고 현지 법인을 대상으로 단체급식과 연계해 주요 식자재 수출도 지원한다. 중동·중남미·인도 등 3대 유망시장 개척에도 나설 방침이다.
농기계 유럽 진출 확대를 위해 60~110마력 중소형 트랙터 제품군을 확대하고, 트랙터 및 작업기 기업 간 합동 마케팅도 지원한다. 농약·비료는 오세아니아·중동 진출을 위해 제품 고급화 및 법무 등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동물용 의약품은 남미·동남아 진출을 위한 시장개척단을 파견한다.
김치·라면·쌀가공식품 등 농식품 '10대 전략품목' 수출액을 40억 달러(약 5조7796억 원)까지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마케팅도 강화한다.
한류를 활용한 마케팅을 단계별로 추진하고, 전 세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대상으로 한 수출품목 간접광고(PPL)도 확대한다. 해외 주요 온라인몰에 한국식품관 입점도 늘릴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대외 불확실성이 있지만 수출 140억 달러가 달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수출기업 애로사항을 조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업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