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치솟는 물가, 움츠리는 소비, 꽁꽁 언 고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1010005703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지훈 기자

승인 : 2025. 02. 11. 17:31

경제지표 부정적…경기반등 찬물
정부 "민생경제 정책수단 총동원"
250211최상목 권한대행-제6회 국무회의-서울청사 (7)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제공=기재부
최근 주요 경제 지표가 부정적인 모습을 나타내며 올해 경기 반등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물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며 지지부진한 소비를 더욱 억누르고 있고, 이에 고용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정부는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민생경제 회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로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정부는 올해 물가를 1.8%로 내다봤지만 연초부터 예상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과 고환율,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성이 여전해 향후 흐름도 밝지 못하다. 정부는 당분간 물가 상방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진한 소비심리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더욱 얼어붙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나 급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88.4로, 11월보다 12.3포인트(p) 떨어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소비는 경기 상황에 비해 높은 금리가 지속되고, 정국 불안에 따른 심리 위축이 더해지면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올해 민간 소비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소비 침체가 지속되면서 고용도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3년 10개월 만의 마이너스다. 특히 소비와 밀접한 영향이 있는 도소매업 취업자 수가 9만6000명 줄었다. 반면 실업자는 17만1000명 급증하며 46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정부는 우리 민생경제가 위기에 있다고 보고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할 계획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절박한 민생·경제 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위기상황에 준해 가동하고 있다"면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개최해 서민물가 상황을 점검하고 유류세 인하 연장 조치 등 서민 부담 경감 방안을 즉시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주에는 주요 경제단체들과 함께 일자리 상황을 점검한다"며 "민·관 협력 일자리 창출 방안과 취약부문 일자리 지원방안 등을 집중 논의하고 필요한 조치를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