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조치 동향 등을 점검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 대행은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조치가 1개월간 유예됐으나 이번 관세 부과 조치와 각국의 대응이 이어질 경우 우리 수출과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으며 향후 미국의 관세 조치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중심으로 진출기업 간담회 등 협의체를 통해 전개 양상, 주요국 대응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우리 업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상황 진전에 대응한 비상수출대책 마련과 함께 미국 신정부 인사들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해 우리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미국의 관세부과 대상국 진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헬프데스크'를 운영하고, 불가피한 생산 조정 및 이와 관련한 유턴기업 등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등 우리 업계의 애로해소를 위해 지원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이날 회의에는 최 대행을 비롯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