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추경땐 성장률 0.2%p↑"
이창용 총재 "빠를수록 좋아" 강조
與 "선심재정 배제하고 논의 해볼만"
◇글로벌 투자은행 "대내외 역풍 우려에 추경 필요"
30일 설 연휴를 마친 경제계에선 "내수 빙하기 탈출을 위한 추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울렸다.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은 올해 우리 경제의 '심리 악화'와 '경제 부문의 활동 둔화'를 지적하며 추경 필요성을 부각했다.
노무라금융투자는 '아시아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추경안은 2분기 제출될 것"이라며 "정부가 1분기 재정 지출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 이후 추경을 준비할 것" 이라고 전망했다. 추경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0.5∼0.6%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 경제계에선 '저성장 쇼크'를 피하기 위한 추경론에 힘을 실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이 간신히 2%에 턱걸이했는데, 더 큰 문제는 올해에는 1%대 저성장이 예고돼 있다는 점이다.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이 얼어붙기 전에 추경의 땔감을 넣어서 활력을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모건스탠리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하며 "침체된 심리와 모든 경제 부문의 활동 둔화로 인해 소비 회복이 지연돼 대내외 역풍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향후 경기 흐름에 있어 추경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가 20조원에 달하는 추경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성장률을 0.2%포인트 올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파 전선' 몰려오자…정부도 "국회와 논의" 선회
현재 한국 경제엔 한파 전선이 잔뜩 몰려오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치는 87.3을 기록해 36개월 연속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여기에 산업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10~20% 수준의 보편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0.1~0.2%포인트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경제사령탑도 추경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추가 재정 투입을 국회와 정부가 논의할 수 있다"고 했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추경이 필요하고, 빠를수록 좋다"고 했다. 정부는 그동안 야당의 추경 편성 요구에 '무대응 원칙'을 고수해왔으나 경기 침체가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자 '협의 가능'으로 노선을 바꾼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설 명절 이후 추경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상대적으로 추경 편성에 적극적인 더불어민주당은 "지역화폐 전국민 보편지급을 수용키 어렵다면 논의를 거쳐 선별지원도 가능하다"며 관련 협의를 제안했고, 국민의힘은 '현금 살포'나 선심성 재정을 배제하는 차원에서 추경 논의를 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