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나토, 러 침략에 원인 제공’ 교황, 우크라이나에 항복과 휴전 협상 요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310010004503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03. 10. 08:47

프란치스코 교황 "우크라, 백기 들 용기 갖고 휴전 협상 나서야"
로이터 "교황, 우크라 '백기' '패배' 첫 언급"
바티칸 "교황, '휴전' 의미로 진행자 사용 '백기' 언급"
교황, 러 침공에 나토 일부 원인 제공
POPE-HEALTH/
프란치스코 교황(87)이 6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수요 일반알현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87)이 러시아의 침략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가 항복하고 휴전 협상에 응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교황은 지난달 스위스 RSI 방송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해 '백기(White Flag·항복)'를 들 용기를 갖고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9일(현지시간) 사전 녹취록과 일부 동영상을 입수해 보도했다.

RSI는 교황에게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격퇴하지 못했으므로 항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그렇게 하면 가장 강력한 집단(party·러시아)의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사이의 논쟁에 관한 입장을 묻었다.

진행자는 '백기'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이에 교황은 "이는 하나의 해석이지만 그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가장 강한 사람은 상황을 직시하고, 국민을 생각하며 항복의 용기를 가지고, 협상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교황은 협상은 국제적 강국의 도움 속에서 진행돼야 한다며 "협상이라는 단어는 용기 있는 단어로 자신이 패배하고,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협상할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황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언급하면서 협상의 필요성에 관해 언급한 적은 있지만, '백기'나 '패배'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 것을 처음인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마테오 브루니 바티칸 대변인은 교황이 진행자가 말한 '백기'라는 용어를 포착해 "적대적인 행위 중단과 협상의 용기로 이뤄낸 휴전"을 의미하기 위해 '백기'를 사용했다고 성명을 통해 해명했다.

교황은 지난해 마테오 주피 이탈리아 추기경을 평화 특사로 우크라이나·러시아·미국에 파견한 바 있다.

교황은 협상에 대해 "사람이 수치심을 느낄 수도 있지만 (전쟁으로) 최종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게 되는가"라면서 튀르키예를 언급하면서 "(제때) 협상하고 중재자가 될 수 있는 나라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전날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돌마바흐체 궁전 대통령 집무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러시아가 참석한 가운데 평화 정상회담을 주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를 원하지만 러시아가 점령한 어떤 영토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점령지에서의 러시아군의 선(先)철수를 요구했다.

로이터는 '순교한 우크라이나'를 위해 수백 차례 협상을 호소해 온 교황이 "상황이 더 악화하기 전에 협상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말하고, '중재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의향이 있다(I am here)"고 답했다고 전했다.

교황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에 관해서도 "협상을 결코 항복이 아니다"고 말했다.

교황은 2022년 2월 24일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6개월이 넘은 그해 8월 30일에야 교황청 성명을 통해 러시아를 명시적으로 규탄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교황은 예수회 정기 간행물 '라치빌타카톨리카(La Civilta Cattolica)'나 이탈리아 매체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일부 원인을 제공했다며 한국전쟁에 대해 일부 한국 및 미국 좌파들이 주장하고 있는 미국의 남침 유도설과 같은 논리를 펼쳐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