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5 위기의 中企·소상공인] 줄어든 소비지출, 늘어난 폐업… “자영업자 부담 완화책 시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09010004697

글자크기

닫기

박진숙 기자

승인 : 2024. 12. 08. 18:18

기업 매출 코로나19 이래 첫 감소
의류·신발 지출 전년比 1.6% 줄어
작년 폐업신고 98만명 '역대 최대'
韓산업연 "정부, 소비 개선책 강화"
고금리와 고물가, 고환율 등으로 제조업을 비롯해 유통, 식품, 서비스업 등 대부분의 산업이 침체기에 빠져 있다. 기업들의 신규 투자가 전면 보류됐을 뿐만 아니라 내수 소비도 위축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도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여기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글로벌 환경도 급변하는 가운데, 비상계엄의 여파까지 불거지며 한국경제의 불확실성은 최고조에 이르렀다는 평가다. 이에 아시아투데이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지, 이를 해결할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전문가들과 함께 대책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소비자들이 의류와 신발과 같은 비필수재부터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와 신발뿐 아니라 도매와 소매, 제조 등에서 소비가 전반적으로 줄면서 내수 기업의 매출이 코로나19 이후 처음 감소하는 중이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290만7000원) 중 의류·신발 지출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11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소비지출에서 의류·신발이 차지하는 비율은 3.9%로, 분기별 통계를 발표한 2019년 이래 가장 낮다. 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하위 20%)에서의 감소율은 13.1%에 달했다. 지난해 4분기만 해도 6% 수준이었던 의류·신발 비중은 올해 1분기 4.4%, 2분기 5.4%로 줄면서 3분기 3%대까지 떨어졌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옷가게를 운영하는 A씨는 "9~10월에는 주문이 일주일에 1~2건 들어왔지만 11월부터는 거의 들어오지 않고 있다"며 "이 정도로 안 팔린 적은 올해가 처음인데, 근처 가게들도 문을 닫고 있어 유동인구도 줄다보니 지금 폐업해야 하나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의류·신발뿐만 아니라 도소매업과 제조업 등 전반적인 산업에서의 매출도 부진하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내수기업 620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1.9% 감소했는데, 2020년(-4.2%)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으로 낙폭이 컸다.

경기도 일산에서 건어물 도매점을 운영하는 B씨는 "한 달 매출은 5000만원인데 인건비 등을 빼고 나면 500만원 정도 남는다"면서 "코로나19 시절과 비슷한 수준이긴 하지만, 고물가 등으로 체감하는 순수익은 200만원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대출 이자와 원금을 갚는 데 쓰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경기 불황으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자영업자 수는 약 98만6000명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폐업률은 9.91%로, 자영업자 10명 중 1명꼴로 폐업을 한 셈이다.

더욱이 올해도 폐업자는 증가하는 추세다. 약 170만명이 가입한 자영업자 카페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폐업·정리를 알리는 글이 하루에도 수시로 올라오고 있다. 구글 검색어의 사용도를 분석해 도표화하는 '구글트렌드'에서 '폐업'의 검색량은 최근 5년 중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부담을 완화할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부채 부담을 해소할 만큼의 충분한 매출 회복은 당장 어려울 것으로 보여 폐업은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는 실질임금 상승과 가계대출 금리 인하 등 소비가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